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하반기 부모급여 Q&A 총정리 👩‍👦‍👦

by 뉴스 알리미 언니 2025. 8. 1.
반응형


보육료는 오르고, 부모급여 차액은 줄어드는 2025년 하반기!
어린이집 보내는 가정과 가정보육 가정이 꼭 알아야 할 핵심 변경사항을
쉽고 친절한 Q&A 형식으로 정리해드립니다.
달라진 지급 금액, 신청 방법, 주의할 점까지 꼼꼼히 확인하세요!

“이제 어떻게 달라지나요?” 궁금한 부모님을 위한 친절한 안내


❓Q1. 부모급여는 뭐예요?

A. 부모급여는 2023년부터 도입된 제도로, 0~1세 자녀를 둔 가정에 매월 현금 또는 보육료로 지급되는 육아지원금이에요.

  • 만 0세: 월 100만 원
  • 만 1세: 월 50만 원
    단, 어린이집에 다니면 이 금액이 보육료 지원금으로 사용되고, 남은 금액만 현금으로 지급돼요.

❓Q2. 2025년 하반기에는 뭐가 달라지나요?

A. 핵심은 두 가지예요.

  1. 보육료가 인상됩니다.
    • 0세반: 540,000원 → 567,000원
    • 1세반: 475,000원 → 500,000원
  2. 현금으로 받던 부모급여 차액이 줄어들거나 없어집니다.
    • 0세반: 460,000원 → 433,000원
    • 1세반: 25,000원 → 0원(미지급)

❓Q3. 어린이집 보내면 돈 못 받나요?

A. 전액 못 받는 건 맞지만, 보육료는 정부가 대신 지불해줘요.
즉, 현금으로 받는 ‘차액’만 줄어들거나 없어지는 것이랍니다.

  • 예) 만 1세가 어린이집 다니면 → 현금 차액 없음, 전액 보육료로 지원됨.

❓Q4. 우리 집은 가정보육 중인데요. 변화가 있나요?

A. 없습니다!
어린이집을 이용하지 않는 가정은 부모급여를 그대로 전액 현금으로 수령합니다.

  • 만 0세: 100만원
  • 만 1세: 50만원

❓Q5. 언제부터 바뀌는 건가요?

A. 보육료 인상: 2025년 7월 이용분부터

  • 부모급여 차액 조정: 2025년 8월 지급분부터

즉, 7월에 어린이집 이용한 내역을 바탕으로 8월 차액이 조정돼 지급돼요.


❓Q6. 부모급여는 언제, 어떻게 신청하나요?

A. 출생일 기준 60일 이내 신청하면, 출생월부터 소급해서 받을 수 있어요.


❓Q7. 보육료와 부모급여를 동시에 받을 수 있나요?

A. 안 됩니다.
보육료를 지원받으면, 부모급여는 차액만 현금으로 지급됩니다.
즉, 중복 수령은 불가능하니 어린이집 보내는 시점부터 금액이 달라져요.


❓Q8. 어린이집 입퇴소하면 어떻게 되나요?

A. 입·퇴소 날짜에 따라 일할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7월 중순에 입소하면, 7월은 보육료 절반 + 부모급여 절반 이렇게 지급될 수 있어요.
정확한 계산은 거주 지역 행정복지센터에 문의해보시는 게 좋아요.


❓Q9. 지급일은 언제인가요?

A.

  • 부모급여 기본 지급일: 매월 25일
  • 차액 지급일(어린이집 이용 시): 익월 20일경

예를 들어, 7월 어린이집을 이용한 경우 →
보육료는 7월 중 지급되고, 차액은 8월 20일경 지급돼요.


✅ 요약 정리

항목변경 전변경 후
보육료 (0세반) 540,000원 567,000원
보육료 (1세반) 475,000원 500,000원
차액 (0세반) 460,000원 433,000원
차액 (1세반) 25,000원 0원
 

💡 부모님께 드리는 한마디

아이 키우는 것도, 지원 제도 챙기는 것도 쉽지 않죠.
하지만 이렇게 한 번 정리해두면 혼란 없이 준비하실 수 있어요.
우리 아이에게 맞는 선택을 하실 수 있도록,
이번 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랄게요💛

필요하시면 인포그래픽이나 카드뉴스로도 정리해드릴게요!
댓글로 요청 남겨주세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