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노인맞춤돌봄서비스는 일상생활이 어려운 취약노인들에게 적절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여 안정적인 노후생활을 보장합니다. 서비스 대상, 신청 방법, 제공 내용 등을 자세히 알아보세요.
노인맞춤돌봄서비스는 2020년 1월부터 시행된 서비스로, 기존의 6개 노인돌봄사업을 통합하여 일상생활이 어려운 취약노인들에게 적절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노인의 기능과 건강을 유지하고 악화를 예방하며 안정적인 노후 생활을 보장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기존의 6개 돌봄사업:
- 노인돌봄기본서비스
- 노인돌봄종합서비스
- 단기가사서비스
- 초기독거노인 자립지원 사업
- 독거노인 사회관계 활성화 사업
- 지역사회 자원연계 사업
서비스 대상
서비스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65세 이상 기초생활수급자
- 차상위계층
- 기초연금수급자 중 독거노인 및 조손가구 등 돌봄이 필요한 노인
대상자는 신체, 정신, 사회참여 영역의 취약요인을 조사하여 선정되며, 서비스 제공 시간의 범위는 이 조사 결과에 따라 결정됩니다.
서비스 신청 방법
신청권자
- 본인
- 친족: 배우자, 8촌 이내의 혈족, 4촌 이내의 인척
- 이해관계인: 친족을 제외한 이웃 등 그 밖의 관계인
제출서류
- 신청서 (행정복지센터 비치)
- 신분증 등
신청서 제출
서비스 대상자의 주민등록상 주소지의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 신청서를 제출합니다.
서비스 내용
노인맞춤돌봄서비스는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안전지원
- 방문 안전지원: 안전 및 안부 확인, 정보 제공, 생활안전 점검, 말벗 제공
- 전화 안전지원: 안전 및 안부 확인, 정보 제공, 말벗 제공
- ICT 안전지원: ICT 관리 및 교육, 안전 및 안부 확인
사회참여
- 사회관계 향상 프로그램: 여가활동, 평생교육활동, 문화활동
- 자조모임: 자조모임을 통해 사회적 관계망 형성
생활교육
- 신체건강 분야: 영양교육, 보건교육, 건강교육
- 정신건강 분야: 우울 예방 프로그램, 인지활동 프로그램
일상생활 지원
- 이동 및 활동 지원: 외출 동행
- 가사 지원: 식사 관리, 청소 관리
연계서비스
- 생활지원 연계, 주거개선 연계, 건강지원 연계 등
특화서비스
- 개별 맞춤형 사례관리: 개인의 상황에 맞춘 사례 관리
- 집단활동: 집단 활동을 통한 사회적 지지망 형성
- 우울증 진단 및 투약 지원: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지원
서비스 이용 절차
- 서비스 신청 접수: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 접수
- 대상자 선정 조사 및 서비스 상담: 수행기관(전담사회복지사 등)이 조사 및 상담
- 서비스 제공 계획 수립: 수행기관(전담사회복지사)이 계획 수립
- 심의 및 결정: 시·군·구에서 심의 및 결정
- 서비스 제공: 수행기관(생활지원사 등)이 서비스 제공
- 재사정: 수행기관(전담사회복지사)이 서비스 제공 후 재사정
- 종결 및 사후관리: 수행기관(전담사회복지사 등)이 서비스 종결 및 사후관리
서비스 수행기관 및 인력
서비스는 시·군·구에서 지역 내 노인인구와 복지서비스 인프라를 고려하여 선정된 권역별 수행기관을 통해 제공됩니다. 각 권역별 수행기관에는 전담사회복지사와 생활지원사가 배치되며, 서비스는 무료로 제공됩니다.
노인맞춤돌봄서비스는 노인들이 안정적인 노후를 보내고, 건강하고 활기찬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복지 서비스입니다. 필요한 분들이 적절한 돌봄을 받을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반응형